25년 비과세 통장 종류를 확인하고 적금 가입하세요. 비과세 통장은 예금·적금·저축성 보험 등 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이자나 배당소득에 대해 세금을 면제해주는 계좌입니다. 일반적으로 금융소득에는 15.4%의 이자소득세가 부과되지만, 비과세 통장은 이 세금을 내지 않거나 대폭 감면받을 수 있어 실질 수익률이 크게 올라갑니다.
2025년에도 정부는 서민·취약계층, 노년층, 청년, 농어민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비과세 혜택 상품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신규 가입이 가능한 비과세 통장만 정리하니, 꼭 본인에게 맞는 상품을 찾아 활용하세요!
2025년 비과세 통장 종류 한눈에 보기
상품명 | 주요 대상 | 비과세 한도 | 주요 특징 및 가입조건 |
---|---|---|---|
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 | 만 19세 이상(근로소득자 15세 이상) | 연 2,000만 원(의무 3년) | 이자·배당소득 200만 원까지 비과세(농어민 400만 원) |
청년형 ISA | 만 19~34세 청년 | 연 2,000만 원(의무 3년) | 이자·배당소득 400만 원까지 비과세, 연소득 5,000만 원 이하 |
농어가목돈마련저축 | 농어민 | 연 1,000만 원 | 5년 이상 납입, 이자 전액 비과세, 농어민 확인 필요 |
재형저축(농·수협) | 농어민 | 연 1,800만 원 | 1인 1계좌, 1년 이상, 이자 전액 비과세 |
장애인/국가유공자/기초생활수급자/차상위계층 비과세종합저축 | 해당자격 보유자 | 5,000만 원(원금) | 이자 전액 비과세, 1인 1계좌, 만 1년 이상 유지 |
장병내일준비적금 | 현역병·의무경찰 등 | 월 40만 원(최대 24개월) | 이자 전액 비과세, 복무기간 중 가입만 가능 |
25년 신규가입 가능한 비과세 통장 상세 설명
비과세종합저축 자격

1) 비과세 통장 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
- 대상: 만 19세 이상(근로소득자는 15세 이상),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
- 비과세 혜택
- 계좌 내 예·적금, 펀드, ETF, ELS 등 다양한 금융상품 운용 가능
- 3년 이상 유지 시 이자·배당소득 200만 원(농어민 400만 원)까지 비과세, 초과분은 9.9% 분리과세
- 가입 방법: 은행, 증권사, 보험사 등에서 개설(1인 1계좌)
- 청년형 ISA: 만 19~34세, 연소득 5,000만 원 이하 청년은 비과세 한도 400만 원까지 확대
ISA는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 계좌에서 운용할 수 있고, 세제 혜택이 커서 목돈 마련과 투자, 절세를 동시에 노릴 수 있는 대표적인 비과세 상품입니다. 특히 청년형 ISA는 비과세 한도가 2배로 늘어나 2030세대에게 매우 유리합니다.
은행별 ISA 계좌 더보기
- 국민은행 ISA 계좌 홈페이지
- 우리은행 ISA 계좌 홈페이지
- 신한은행 ISA 계좌 홈페이지
- 제일은행 ISA 계좌 홈페이지
- 하나은행 ISA 계좌 홈페이지
- 기업은행 ISA 계좌 홈페이지
- 농협은행 ISA 계좌 홈페이지
- 기업은행 ISA 계좌 홈페이지
2) 농어가목돈마련저축/재형저축(농·수협) – 농어민 비과세 저축
- 대상: 농어민(농업·어업에 종사하는 자, 농어업인 확인서 필요)
- 비과세 혜택
- 농어가목돈마련저축: 5년 이상 납입 시 이자 전액 비과세, 연 1,000만 원 한도
- 재형저축(농·수협): 1년 이상 유지, 연 1,800만 원 한도, 이자 전액 비과세
- 가입 방법: 농협, 수협 등에서 자격 확인 후 가입
농어민을 위한 저축상품으로, 이자 전액이 비과세되어 실질 수익률이 매우 높습니다. 농어민 자격이 있는 경우 반드시 활용해야 할 상품입니다.
3) 비과세종합저축(장애인·국가유공자·기초생활수급자 등)
- 대상: 장애인, 국가유공자,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등
- 비과세 혜택
- 1인 1계좌, 원금 5,000만 원 한도, 만 1년 이상 유지 시 이자 전액 비과세
- 가입 방법: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자격 증명 후 가입
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대표 비과세 상품으로, 이자 전액 비과세와 함께 예금자 보호(5,000만 원)도 적용됩니다.
4) 장병내일준비적금 – 청년형 비과세 통장

- 대상: 현역병, 의무경찰, 사회복무요원 등 복무 중인 군 장병
- 비과세 혜택
- 월 40만 원(최대 24개월), 이자 전액 비과세
- 가입 방법: 군 복무 중 은행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
은행별 장병내일준비적금 더보기
군 복무 기간 동안만 가입 가능한 특별 상품으로, 이자 전액 비과세와 정부 지원금(매칭)까지 더해져 단기 목돈 마련에 최적입니다.
비과세 통장 ISA 가입 시 유의사항 및 절세 팁
- 자격요건 확인: 농어민, 청년, 장애인 등 각 상품별 가입 조건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- 1인 1계좌 원칙: 대부분 비과세 통장은 1인 1계좌만 허용, 중복 가입 불가
- 의무 유지 기간: ISA 3년, 농어가목돈마련저축 5년, 비과세종합저축 1년 등 각 상품별 의무 유지기간을 반드시 지켜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예금자 보호: 은행 예금, 저축성 보험 등은 1인당 5,000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적용됩니다.
- 만기 후 관리: 만기 후에는 일반 과세로 전환되니, 만기 도래 전 재가입 또는 다른 절세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이 좋습니다.
비과세 통장 자주 묻는 질문(FAQ)
Q: ISA와 청년형 ISA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?
A: 청년형 ISA는 만 19~34세, 연소득 5,000만 원 이하 청년에게 비과세 한도가 400만 원으로 확대된 상품입니다.
Q: 농어민 비과세 통장은 누구나 가입할 수 있나요?
A: 농어민 자격(농어업인 확인서 등)이 있어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.
Q: 비과세종합저축은 중복 가입이 가능한가요?
A: 1인 1계좌만 허용되며, 중복 가입은 불가합니다.
Q: 장병내일준비적금은 전역 후에도 유지되나요?
A: 복무 기간 중에만 가입 가능하며, 전역 후에는 신규 가입이 불가합니다.
Q: 비과세 통장 만기 후에는 어떻게 되나요?
A: 만기 이후에는 일반 과세로 전환되니, 만기 전에 재가입이나 다른 절세 상품을 검토하세요.
비과세 통장 가입 실전 꿀팁
- 비과세 통장은 이자소득세를 아끼는 가장 확실한 절세 전략입니다.
- ISA, 청년형 ISA, 농어가목돈마련저축, 비과세종합저축, 장병내일준비적금 등 본인 자격에 맞는 상품을 적극 활용하세요.
- 의무 유지기간, 가입 한도, 예금자 보호 여부 등 세부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, 만기 관리도 신경 써야 합니다.
이 글 하나면 2025년 비과세 통장 종류와 활용법, 절세 팁까지 완벽하게 준비할 수 있습니다!
보험관련 좋은 정보
- ——> 보험사별 여행자보험 혜택 비교
- ——> DB손해보험 자녀보험 완벽 가이드
- ——> 보험사별 화상보험 보장, 혜택 비교
- ——> 초보 운전자 자동차 보험 할인 꿀팁
- ——> 비갱신 건강보험 장점, 단점 총 정리